WIN2008 #2 - LAST DHCP DHCP 예약 잡는 방법 1. >arp -a 를 이용한 방법 2. 콘솔에서 고유 ID 를 확인하는 방법 3. 콘솔에서 우클릭을 했을 때에 해당 클라이언트를 어떻게 식별할 수 있을까? => 어떤 MAC 을 잡아놓고 예약을 잡아 놓았다. 그런데 어떻게 해당 컴퓨터인지 알 수 있을까? 4-24 DHCP 서비스 관리 시나리오 => 네트워크 대응에 관리 1. DHCP DB 의 성장 즉 규모가 커지는 것을 관리해라 => 일단 DHCP 는 DB 가 생명이라고 보면 된다. 임대기간이 어떻게 되는지 등의 정보가 중요한 것이다. 이런 DB 의 크기가 커진다는 것은 들어가있는 정보가 많다는 것이다. 유출되거나 손상을 입었을 때에 즉각적으로 복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보안에서 무결성, 기밀성, 일관성이 있는데 DHCP 에.. 더보기 WIN2008 #2 - DHCP 서버 구성 ======지난시간 복습====== DHCPDISCOVER (클라이언트의 MAC 주소와 HOST 명 ) DHCP OFFER (임대 IP주소,GW,DNS, 임대기간,클라이언트의 MAC주소, DHCP 자기 자신의 IP 주소 ) DHCP REQUEST ( 그냥 나 이것 쓸게 라고 이야기하는것 ) DHCP ACK ( 그래 너 써라 ) => 이것은 레지스트리 값으로 저장이 된다.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는데 시스템이 날라가서 원래 한장이 있으면 로컬영역으로 영역이 된다. 임대 갱신시 : 50% 가 되었을 때 컴퓨터가 켜질 때 87.5% 가 되면 갱신이 아니라 신규 DHCP를 요청하는 것이다. POOL 은 크게 하나의 임계범위를 만들어준다. DISCOVER 를 나갔는데 OFFER 가 안들어 온다면 169.254 로 I.. 더보기 WIN2008 #2 - DHCP 집에 공유기를 보면 DHCP 기능이 있다. 보게 되면 IP 를 임대해 주는 역할을 한다. DHCP 가 왜 필요할까? 역으로 어떤 경우에 DHCP 가 있으면 좋을까? 우리가 흔히 아는 것은 단순히 IP를 임대해 주는 것이다. 말그대로 동적 IP 할당이니까 .. IP를 바꾸어 주기 위해서 사용한다고 많으들 생각하는데 DHCP 서버가 있어야 하는 이유는 단순하게 규모가 크다고 하는 이유가 아니라 사용자들이 IP를 입력하거나 DNS 를 입력해야 되는 것을 잘 모를때에 올바른 구성정보를 DHCP 에 두고 사용자들이 잘 가져다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다. 4-4 Benefits of Using DHCP 지금 DHCP 에 해당하는 모듈을 보면 DHCP 를 쓰면 좋다는 내용이 적혀있는데 잘못된 것이다. 경우에 따라.. 더보기 이전 1 ··· 34 35 36 37 38 39 40 ··· 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