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습] 게이트웨이 추가하고 삭제하기
게이트웨이를 추가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1. /etc/sysconfig/network 파일을 직접 변경하며 추가
[root@localhost ~]# cat /etc/sysconfig/network
NETWORKING=yes
NETWORKING_IPV6=no
HOSTNAME=localhost.localdomain
GATEWAY=192.168.10.2
=> 이것을 추가 테이블을 먼저본 뒤에 나갈 때에 통해서 나가야 한다.
-2. route 명령어로 추가
(kernel 라우팅에 테이블을 추가)
[root@localhost ~]# route add default gw 192.168.10.3
=> 명령어를 통해 직접 수정
[root@localhost ~]# route
=> 라우팅 테이블 정보 보기
Kernel IP routing table
Destination Gateway Genmask Flags Metric Ref Use Iface
192.168.10.0 * 255.255.255.0 U 0 0 0 eth0
192.168.122.0 * 255.255.255.0 U 0 0 0 virbr0
172.16.0.0 * 255.255.0.0 U 0 0 0 eth1
169.254.0.0 * 255.255.0.0 U 0 0 0 eth1
default 192.168.10.3 0.0.0.0 UG 0 0 0 eth0
default 192.168.10.2 0.0.0.0 UG 0 0 0 eth0
[root@localhost ~]# netstat -rn
=> 라우팅 테이블 정보보기 (r) + 숫자까지 표현(n)
Kernel IP routing table
Destination Gateway Genmask Flags MSS Window irtt Iface
192.168.10.0 0.0.0.0 255.255.255.0 U 0 0 0 eth0
192.168.122.0 0.0.0.0 255.255.255.0 U 0 0 0 virbr0
172.16.0.0 0.0.0.0 255.255.0.0 U 0 0 0 eth1
169.254.0.0 0.0.0.0 255.255.0.0 U 0 0 0 eth1
0.0.0.0 192.168.10.3 0.0.0.0 UG 0 0 0 eth0
0.0.0.0 192.168.10.2 0.0.0.0 UG 0 0 0 eth0
-3. X-Window 환경에서 추가
[실습] IP 변경하기
IP 설정하는데에도 여러가지가 있다.
가. 파일로 편집하는 방법
/etc/sysconfig/network-scripts/네트워크파일명
네트워크파일명 => eth0 //첫번째
게이트웨이를 추가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1. /etc/sysconfig/network 파일을 직접 변경하며 추가
[root@localhost ~]# cat /etc/sysconfig/network
NETWORKING=yes
NETWORKING_IPV6=no
HOSTNAME=localhost.localdomain
GATEWAY=192.168.10.2
=> 이것을 추가 테이블을 먼저본 뒤에 나갈 때에 통해서 나가야 한다.
-2. route 명령어로 추가
(kernel 라우팅에 테이블을 추가)
[root@localhost ~]# route add default gw 192.168.10.3
=> 명령어를 통해 직접 수정
[root@localhost ~]# route
=> 라우팅 테이블 정보 보기
Kernel IP routing table
Destination Gateway Genmask Flags Metric Ref Use Iface
192.168.10.0 * 255.255.255.0 U 0 0 0 eth0
192.168.122.0 * 255.255.255.0 U 0 0 0 virbr0
172.16.0.0 * 255.255.0.0 U 0 0 0 eth1
169.254.0.0 * 255.255.0.0 U 0 0 0 eth1
default 192.168.10.3 0.0.0.0 UG 0 0 0 eth0
default 192.168.10.2 0.0.0.0 UG 0 0 0 eth0
[root@localhost ~]# netstat -rn
=> 라우팅 테이블 정보보기 (r) + 숫자까지 표현(n)
Kernel IP routing table
Destination Gateway Genmask Flags MSS Window irtt Iface
192.168.10.0 0.0.0.0 255.255.255.0 U 0 0 0 eth0
192.168.122.0 0.0.0.0 255.255.255.0 U 0 0 0 virbr0
172.16.0.0 0.0.0.0 255.255.0.0 U 0 0 0 eth1
169.254.0.0 0.0.0.0 255.255.0.0 U 0 0 0 eth1
0.0.0.0 192.168.10.3 0.0.0.0 UG 0 0 0 eth0
0.0.0.0 192.168.10.2 0.0.0.0 UG 0 0 0 eth0
-3. X-Window 환경에서 추가
[실습] IP 변경하기
IP 설정하는데에도 여러가지가 있다.
가. 파일로 편집하는 방법
/etc/sysconfig/network-scripts/네트워크파일명
네트워크파일명 => eth0 //첫번째
네트워크파일명 => eth1 //두번째
나. 명령어로 편집
ifconfig 명령어로 편집할 수 있다.
ifconfig eth1 172.16.8.253 netmask 255.255.0.0 up
다. X-Window 환경에서도 가능
물론, 아이콘을 찾아가서 클릭후 작업하면 된다.
[중요]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방법!!
여기서 "제어" : 시작, 중지, 재시작 등을 말하는 것이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를 직접 제어해보자!!
가. 하나의 NIC만 제어할 때
# ifconfig eth1 down
# ifconfig eth1 up
나. 시스템의 모든 NIC 를 제어할 때
# service network restart
# service network stop
# service network start
# service network status
[실습] eth1 네트워크카드 down & up
# ifconfig eth1 down
# ifconfig eth0 up
본딩으로 네트워크를 묶어버리면 대역폭 모두 이용가능하다. 안전하다.
하지만 단점은 본딩으로 묶어놓은 네트워크 카드가 문제가 생기면 다 나간다. 하지만 실무에서는 최소한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해서는 본딩을 해놓는다.
===========================================================================
= 백업을 하는 이유? =
복구를 하기 위해서 => 그 만큼 중요한 것이다. BMT (서버 성능 테스트)
수퍼블럭 (superblock)
그 파일시스템의 뼈대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파일시스템의 구조적인 정의를 하고 있는 것이다.
즉 해당 파일시스템의 집을 지어서 방을 만들고 각 방들의 번호를 붙여서 사람이 들어가서 살수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각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도록 블록을 형성하고 블록룹을 정의하고 있으며 각 블록의 크기등을 정의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수퍼블록이 망가진다면 해당 파일시스템은 사용자체가 되지 않는다.
Super Block에는 파일시스템의 전체적인 정보를 포함한다.
이 수퍼블럭에는 파일시스템 Size, 매직넘버, 마운트 횟수, 블록그룹번호, 블록 크기, 첫 번째 inode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조치방법>
수퍼블럭 백업본이 백업수퍼블럭이다.
maintenance mode 로 부팅한 다음 e2fsck를 이용하여 복구하면 된다.
-b 옵션을 사용해야 한다. 즉 백업수퍼블럭을 이용하여 수퍼블록을 복구한다는 의미이다.
=> 파일의 inode 와 같은 개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참조] http://depiness.egloos.com/911126
=============================================================================
safedelete 활용(리눅스 휴지통)
리눅스에서 rm 명령어를 잘못 사용하여 삭제하지 말아야 할 파일을 실수로 삭제했을 경우
MS 윈도우 운영체제의 "휴지통"과 같은 역할을 한다.
rm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을 삭제할 경우에 리눅스에서는 해당블록내의 inode 번호값으로 그 파일을 가지고 있다.
즉 삭제된 파일의 inode 값을 알고 있으면 복구가 가능하다.
하지만 수많은 파일들의 모든 inode 번호를 알 수는 없을 것이다.
삭제된 파일을 복구가 안될 경우 : 삭제된 파일이 덮어씌워질 경우
리눅스에서 파일을 복구하기위해서 삭제하는 순간에 특정티렉토리에 삭제된 파일을 보관하고, 삭제한 사용자의 디렉토리에 삭제기록로그를 가지고 있다는 원리로 복구가 가능하다.
즉 safedelete 라는 명령어는 파일을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rm 명령어와 달리 safedelete 명령어는 파일을 삭제하면, 특정한 디렉토리에 삭제된 파일을 관하게 된다. 그리고 삭제된 사용자의 홈디렉토리에 삭제 파일리스트를 저장하고 있는 로그파일에 그 파일정보들을 보관하게 된다.
그리고 safedelete 라는 파일삭제 명령어로 삭제된 파일은 undelete 라는 명령어로 복구가 가능하다.
==============================================================================
= RAID =
RAID(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는 여러 개의 하드 디스크에 일부 중복된 데이터를 나눠서 저장하는 기술이다. 데이터를 나누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며, 이 방법들을 레벨이라 하는데, 레벨에 따라 저장장치의 신뢰성을 높이거나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 키는 등의 다양한 목적을 만족시킬수 있다.
왜 사용하는가? 데이터의 안정성을 위해 사용한다. 데이터를 빠르게 복구를 할 수 있다.
일반 서버는 살아 있는 상태에서 넣었다 빼어도 상관없게 되어있다. => 이것을 On-line- HOT swap 이라고 한다.
서버는 전부다가 아니라 대부분 RAID 로 묶어서 서비스를 이용한다.
RAID 를 쉽게 이해하려면 http://www.acnc.com/raid 여기를 확인하면 에니메이션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ㅁ ㅁ ㅁ ㅁ ( ㅁ ㅁ ) ㅁ ㅁ
=> 이렇게 되어 있다면 => 이렇게 만들어 준다.
ㅁ ㅁ ㅁ ㅁ ㅁ ㅁ ㅁ ㅁ
안정성을 위해 일단은 1번으로 묶어준다 ^_^
[실무에서 서버 구입부터 OS 설치까지의 과정]
1. 서버 사전 조사 2. 3개 제휴 업체 3. 문서화 -> 구매요청 4. 서버구입 -> 회사에 들여 놓기
5. 서버 놓고 랜선 연결 6. RAID 구현 7. OS 설치 8. 이후 개발자에게 연락
(*회사마다 정책이 다를수 있으니 100% 따라하진 말자!)
==================================================================================
= DNS =
나. 명령어로 편집
ifconfig 명령어로 편집할 수 있다.
ifconfig eth1 172.16.8.253 netmask 255.255.0.0 up
다. X-Window 환경에서도 가능
물론, 아이콘을 찾아가서 클릭후 작업하면 된다.
[중요]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방법!!
여기서 "제어" : 시작, 중지, 재시작 등을 말하는 것이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를 직접 제어해보자!!
가. 하나의 NIC만 제어할 때
# ifconfig eth1 down
# ifconfig eth1 up
나. 시스템의 모든 NIC 를 제어할 때
# service network restart
# service network stop
# service network start
# service network status
[실습] eth1 네트워크카드 down & up
# ifconfig eth1 down
# ifconfig eth0 up
본딩으로 네트워크를 묶어버리면 대역폭 모두 이용가능하다. 안전하다.
하지만 단점은 본딩으로 묶어놓은 네트워크 카드가 문제가 생기면 다 나간다. 하지만 실무에서는 최소한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해서는 본딩을 해놓는다.
===========================================================================
= 백업을 하는 이유? =
복구를 하기 위해서 => 그 만큼 중요한 것이다. BMT (서버 성능 테스트)
수퍼블럭 (superblock)
그 파일시스템의 뼈대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파일시스템의 구조적인 정의를 하고 있는 것이다.
즉 해당 파일시스템의 집을 지어서 방을 만들고 각 방들의 번호를 붙여서 사람이 들어가서 살수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각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도록 블록을 형성하고 블록룹을 정의하고 있으며 각 블록의 크기등을 정의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수퍼블록이 망가진다면 해당 파일시스템은 사용자체가 되지 않는다.
Super Block에는 파일시스템의 전체적인 정보를 포함한다.
이 수퍼블럭에는 파일시스템 Size, 매직넘버, 마운트 횟수, 블록그룹번호, 블록 크기, 첫 번째 inode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조치방법>
수퍼블럭 백업본이 백업수퍼블럭이다.
maintenance mode 로 부팅한 다음 e2fsck를 이용하여 복구하면 된다.
-b 옵션을 사용해야 한다. 즉 백업수퍼블럭을 이용하여 수퍼블록을 복구한다는 의미이다.
=> 파일의 inode 와 같은 개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참조] http://depiness.egloos.com/911126
=============================================================================
safedelete 활용(리눅스 휴지통)
리눅스에서 rm 명령어를 잘못 사용하여 삭제하지 말아야 할 파일을 실수로 삭제했을 경우
MS 윈도우 운영체제의 "휴지통"과 같은 역할을 한다.
rm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을 삭제할 경우에 리눅스에서는 해당블록내의 inode 번호값으로 그 파일을 가지고 있다.
즉 삭제된 파일의 inode 값을 알고 있으면 복구가 가능하다.
하지만 수많은 파일들의 모든 inode 번호를 알 수는 없을 것이다.
삭제된 파일을 복구가 안될 경우 : 삭제된 파일이 덮어씌워질 경우
리눅스에서 파일을 복구하기위해서 삭제하는 순간에 특정티렉토리에 삭제된 파일을 보관하고, 삭제한 사용자의 디렉토리에 삭제기록로그를 가지고 있다는 원리로 복구가 가능하다.
즉 safedelete 라는 명령어는 파일을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rm 명령어와 달리 safedelete 명령어는 파일을 삭제하면, 특정한 디렉토리에 삭제된 파일을 관하게 된다. 그리고 삭제된 사용자의 홈디렉토리에 삭제 파일리스트를 저장하고 있는 로그파일에 그 파일정보들을 보관하게 된다.
그리고 safedelete 라는 파일삭제 명령어로 삭제된 파일은 undelete 라는 명령어로 복구가 가능하다.
==============================================================================
= RAID =
RAID(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는 여러 개의 하드 디스크에 일부 중복된 데이터를 나눠서 저장하는 기술이다. 데이터를 나누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며, 이 방법들을 레벨이라 하는데, 레벨에 따라 저장장치의 신뢰성을 높이거나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 키는 등의 다양한 목적을 만족시킬수 있다.
왜 사용하는가? 데이터의 안정성을 위해 사용한다. 데이터를 빠르게 복구를 할 수 있다.
일반 서버는 살아 있는 상태에서 넣었다 빼어도 상관없게 되어있다. => 이것을 On-line- HOT swap 이라고 한다.
서버는 전부다가 아니라 대부분 RAID 로 묶어서 서비스를 이용한다.
RAID 를 쉽게 이해하려면 http://www.acnc.com/raid 여기를 확인하면 에니메이션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ㅁ ㅁ ㅁ ㅁ ( ㅁ ㅁ ) ㅁ ㅁ
=> 이렇게 되어 있다면 => 이렇게 만들어 준다.
ㅁ ㅁ ㅁ ㅁ ㅁ ㅁ ㅁ ㅁ
안정성을 위해 일단은 1번으로 묶어준다 ^_^
[실무에서 서버 구입부터 OS 설치까지의 과정]
1. 서버 사전 조사 2. 3개 제휴 업체 3. 문서화 -> 구매요청 4. 서버구입 -> 회사에 들여 놓기
5. 서버 놓고 랜선 연결 6. RAID 구현 7. OS 설치 8. 이후 개발자에게 연락
(*회사마다 정책이 다를수 있으니 100% 따라하진 말자!)
==================================================================================
= DNS =
'Computer Engineering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결법] Ubuntu 에서 한글입력이 안될 때 (0) | 2011.12.16 |
---|---|
LINUX#2 (0) | 2011.11.05 |
LINUX#2 - Apache (0) | 2011.10.30 |
LINUX#2 (0) | 2011.10.29 |
LINUX#2 - (0) | 2011.10.23 |